반응형
소득 분위 확인 방법
나도 정부지원 대상자일까? 중위소득 기준 초간단 조회법 총정리
이런 분께 추천합니다!
- 정부지원금 신청하려는데 내 소득 분위 몇 분위인지 모를 때
- 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도약계좌,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확인 전
- 중위소득 100%, 120% 기준이 뭔지 헷갈릴 때
2025.04.23 - [일상생활] - 정부가 1,440만원 준다고?!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은 5월 2일부터
1. 소득 분위란? 기준 중위소득이란?
- 기준 중위소득 = 국민 소득을 100%로 기준 잡아,
50%, 70%, 100%, 120% 등으로 나누어 지원 대상자 선정에 활용합니다. - 예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→ 소득 하위 50%에 해당 (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가능)
2.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(예시)
가구원 | 중위 소득 100% | 중위 소득 120% |
1인 가구 | 2,180,000원 | 약 2,616,000원 |
2인 가구 | 3,583,000원 | 약 4,299,600원 |
3인 가구 | 4,621,000원 | 약 5,545,200원 |
4인 가구 | 5,620,000원 | 약 6,744,000원 |
※ 정확한 수치는 보건복지부 중위소득 공고 기준으로 매년 변경
→ “중위소득표 2025”로 검색하면 연도별 최신 확인 가능
3. 내 소득 분위 확인하는 3가지 방법
반응형
방법 1: 복지로 ‘모의 계산기’ 이용 (가장 간단!)
- 복지로 접속
- 메뉴에서 복지서비스 들어가서 아래로 내리면 모의계산 간편조회 클릭
- 가구원 수 + 소득 정보 입력
- 자동으로 중위소득 % 결과 제공
✔️ 1분 안에 확인 가능!
✔️ 내가 어떤 정부 지원 받을 수 있는지도 같이 나옵니다
방법 2: 건강보험료 기준 확인
많은 정책에서 ‘소득 분위’ 대신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판단합니다.
가구원 | 중위 소득 100% 월 건강보험료 |
1인 | 약 78,000원 이하 |
2인 | 약 123,000원 이하 |
3인 | 약 159,000원 이하 |
✔️ 직장가입자라면 직장 명세서 or 4대보험 납부 내역서 참고
✔️ 지역가입자라면 납부 고지서 확인
방법 3: 사회보장정보시스템 '행복e음' 문의
- 읍면동 주민센터 or 복지상담센터에 전화
- 본인 명의로 소득 조회 가능 (공동인증서 지참)
☎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
4. 헷갈리는 개념 정리
- “소득 분위” = 전체 소득 대비 몇 등급인지 (중위소득 %로 판단)
- “기초생활수급자” = 소득 분위 30% 이하
- “차상위계층” = 50% 이하지만 수급자는 아님
- “청년내일저축계좌” 등은 100% 이하여야 가능
마무리 요약
항목 | 추천 방법 |
빠르게 확인 | 복지로 모의계산기 이용 (1분컷) |
정확하게 | 건강보험료 납부액 or 주민센터 확인 |
기준표 보기 | 2025년 중위소득표 검색 |
여러분은 몇 분위에 해당하시나요?
모의계산기 돌려보고 결과 댓글로 공유해보세요!
👉 공감 + 즐겨찾기 해두시면 다음 정부지원 콘텐츠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어요 😊
반응형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영웅 ‘천국보다 아름다운’ 녹음 현장 공개|비하인드 영상 + 감동 포인트 정리 (1) | 2025.04.25 |
---|---|
임영웅 ‘천국보다 아름다운’ 가사 해석|뮤직비디오 속 감동 장면 & 감성 포인트 총정리 (1) | 2025.04.25 |
정부가 1,440만원 준다고?!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은 5월 2일부터 (0) | 2025.04.23 |
전입신고 안 하면 과태료? 모바일 신청법 정리 (1) | 2025.04.23 |
TV 수신료 해지 방법|2025년 최신 신청 링크 안내 (0) | 2025.04.23 |